정치평론/정치

정치여론조사에서 전화면접과 자동응답에서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

세널리 2025. 2. 24. 14:17
728x90
반응형

 

정치여론조사에서 전화면접과 자동응답(ARS) 방식 간 차이가 발생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다.

 

1.응답자 특성 차이

 

참여 성향 : ARS는 정치에 관심이 많거나 뚜렷한 정치 성향을 가진 사람들이 주로 참여하는 경향이 있다. 반면, 전화면접은 정치에 무관심한 층도 포함되어 더 넓은 스펙트럼의 의견을 반영한다.

 

응답률 : 전화면접은 사람이 직접 통화하기 때문에 응답률이 높고, ARS는 기계음에 대한 거부감으로 응답률이 상대적으로 낮다.

 

2.응답 환경의 차이

 

익명성 : ARS는 버튼만 누르면 되어 더 익명성이 보장되므로, 응답자가 실제 마음을 드러내기 수월할 수 있다.

 

사회적 바람직성 편향: 전화면접에서는 조사원과 직접 대화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답변을 할 가능성이 높다.

 

3.조사 방식의 특성

 

질문 수 : ARS는 주로 5개 내외의 간단한 질문만 가능한 반면, 전화면접은 15개 이상의 문항으로 더 깊이 있는 조사가 가능하다.

 

응답 척도 : ARS에서는 극단적인 응답('매우 찬성' 또는 '매우 반대')이 더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.

 

정확성과 경제성 : 전화면접은 대표성 확보에 유리하여 정확성이 높지만, ARS는 신속성과 경제성에서 우위를 가진다.

 

이러한 차이로 인해 같은 주제의 여론조사라도 전화면접과 ARS 방식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, 조사 결과를 해석할 때 이러한 방식의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.

반응형